속담에 나타난 국민성
속담에는 그 나라 국민의 특성, 재질, 정신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그 국민의 역사, 종교, 미신, 풍속, 제도, 인정 등을 관찰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우리나라 속담의 例)'양반은 죽어도 짚풀은 안 쪼인다.''양반은 물에 빠져 죽어도 개헤엄은 안친다.'는 우선 추운데 짚풀이든 숯불이든 가릴 필요가 없으며 물에 빠져 죽을 처지에 이르른 주제에도 체통 깎이는 행동을 않겠다는 말이니, 이것만 보아도옛날 양반들이 체면만 생각하고 얼마나 형식만을 꾸미려고 하였는지그 시대의 풍습을 과히 짐작할 수 있다.'시집살이 못하면 동네 개가 상대를 안한다.''귀머거리 삼년이요, 벙어리 삼년이라.''색시 다루기는 다홍 치마적 부터 하여라.' 는 과거에 우리네 집안에서 입이 있어도 하고 싶은 말을 다 못하고, 귀로 들으면서도..
2021. 1. 4.